내용별 주요역사

태평양전쟁희생자유족회를 이끈 사람들



     김기경 회장           배해원 회장          김종대 회장         양순임 회장



72년 말 박정희 대통령은 장기집권을 위해 유신헌법을 발표한 이래 정국은 경색되었고 

국민들의 삶은 예측할 수 없는 상황에 빠져들었다. 이런 와중에 73년에 이르러서 

지난 65년에 맺었던 한일협정에서 전후 개인보상 문제가 한걸음도 나아가지 않게 되자 

전쟁피해자와 유족들은 서서히 움직이기 시작, 마침내 태평양전쟁희생자유족회(이하 유족회)를 출범시켰다. 


비영리민간단체로 출범한 유족회원들은 많은 세월동안 개별적으로 전후보상, 유해봉환 등 

전쟁희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홀로 활동해 온 탓에 결속력이 약했지만 

유족회로 헤쳐모여를 한 이후 단합된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이렇듯 유족회는 흩어진 목소리를 하나로 내기 위해 박도진 씨를 초대 회장에 선출했다.


부산에서 출범한 유족회는 박도진 회장을 비롯 김기경, 김상원, 김정복, 양순임, 최종수, 

하기효, 한영용 등이 전국의 전주, 대전, 광주, 순천, 대구, 부산 등을 순회하면서 

각 시도지부 결성에 속도를 내기 시작했고 이때 각 시도에서 개별적으로 활동해온 유족들이 

대거 합류하기 시작했다, 


1년간의 활동을 거쳐 안정된 유족회는 74년 제2대 회장에 최종수 씨를 선출했다. 

최 회장은 당시 대일민간청구권전사자 유족회장으로 활동하는 중에 유족회에 합류, 

그간 강제 징용징병된 군속, 노무자들에 대한 유족연금 지급을 촉구했으며 

토쿄 우천사에 보관되어 있는 2천83구의 유해봉환에 목소리를 높여왔다. 

그러던 중 76년10월, (일부에서는 74년 4월?) 한 일본인에 의해 유해 219구가 송환되었으나 

그 충격으로 최 회장이 사망하는 안타까운 일이 발생하기도 했다.  


최 회장의 사망 이후 유족회는 3대 회장에 서판길 씨가 활동했고 이어 4대 회장에 김판곤 회장, 

이어 5대 회장에 김기경 씨를 선출했다. 김기경 회장은 태평양전쟁희생자들을 일본인전몰유족과 

동일한 원호법으로 소급보상해 줄 것을 촉구하고, 중국, 사할린 등지에 흩어져 있는 

동포들의 귀국과 상봉 등에 대해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이 무렵부터 유족단체의 사단법인화를 목표로 보건사회부에 인가를 요청하기 시작했다.   


84년에 유족회는 제6대 회장에 배해원 씨를 선출했다. 배 회장의 부친 배봉근 씨는 

1943년 북해도로 끌려가 6개월 만에 돌아가셨지만, 아버지 유해를 찾지 못한 한많은 유족이었다. 

유족회는 배 회장 7년 재임 기간동안 괄목할만한 성과를 일궈내기도 했다.

88년 전범 일본에 대한 재판을 위해 ‘태평양전쟁유족회’로 재발기, 

보사부에 사단법인 신청을 본격화했는가 하면 유족회 명칭을 

현재의 ‘태평양전쟁희생자유족회’로 명칭을 변경하는 결정을 한바 있다. 


이 기간에 그간 베일에 감춰졌던 군인군속 243,000명의 명부를 일본 후생성을 통해 

최초 확인하는 성과도 올렸는가 하면 군인, 군속 노무자 등이 대일 공식사죄와 배상을 

촉구하는 소송을 제기하는 등 대일 투쟁에 전력을 투구했다.


유족회는 배 회장의 뒤를 이어 김종대 씨를 제7대 회장에 선출했다. 김 회장 재임 때도 

유족회는 기념할만한 일들을 많이 이뤄내는 성과를 올렸다. 92년에 비로소 유족회는 

사단법인으로 인가받아 태평양전쟁 관련 단체로는 최초로 법인의 승인을 받는 개가를 올렸다. 

이때 김 회장은 양순임 상임이사(현 유족회장)와 함께 사단법인화된 유족회의 초대 공동대표로 선출되었다.


공동대표 체제였지만 김 회장과 양 회장 등이 중심이 된 유족회는 

일본의 전후처리 촉구 100만인 서명운동을 벌였는가 하면 최초로 김학순 군대위안부 등과 함께 

일본의 전후에 대한 공식사죄와 배상청구소송을 제기, 엄청난 국민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이후 유족회는 정관변경 과정을 거쳐 1인 회장 체제로 전환키로 함에 따라 공동대표로 활동했던 

김종대, 양순임 회장이 사임하고, 제2대 회장에 배해원 씨를 선출했다. 배 회장이 이끌었던 유족회는 

전범재판 과정을 지켜보기 위해 수없이 도일(渡日)했는가 하면 군대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입법에도 힘을 쏟아부었다.


3대, 4대에 걸쳐 약 5년간 김종대 회장이 유족회를 다시 이끌게 되었다. 

대일소송이 기각되는 등 어수선한 와중에도 대일소송을 통해 여론 확산에 전념했으며, 

일본 현지에서 유해발굴에 수차례 참여하기도 했다.


지난 2004년에 이르러 제5대 회장에 양순임 씨가 여성의 몸으로 회장에 선출되었다. 

양 회장은 지난 73년부터 유족회 창립을 적극 주도하는 등 유족회의 산 역사이기도 했다. 

일본이 재판과정을 통해서도 노골적으로 전후문제에 대해 사죄할 책임이 없음을 분명히 천명하자 

양 회장을 중심으로 유족회는 국내에 집중하기 시작했다. 강제동원 입법을 서두르는가 하면 

UN을 비롯한 세계적인 단체 등과 연대해 태평양전쟁 피해에 대한 진상규명과 대일 사죄 및 배상촉구에 심혈을 기울였다. 

 

특히 유족회는 한일협정문서 공개를 촉구한 이후 지난 2005년에 마침내 일부이긴 했지만 

한일협정 회담관련 내용을 확인하는 성과를 올렸다. 또한 생존 군대위안부 할머니에 대한 

군대위안부 강제동원 사실을 증언하는 최초의 영상기록을 남기기도 했다.


그러나 양 회장이 대일문제에 목소리를 높여나가는 중 지난 2005년 5월과 2013년 3월 

두 차례에 걸쳐 불미스러운 일에 연루돼 유족회의 존립자체가 흔들리는 등 곤욕을 치르기도 했지만 

소송기각과 무죄판결로 마무리되기도 했다. <글/이종납 태평양전희생자유족회 공보위원장 정리>

 

 


일본의 과거사 반성 3대 담화 


일본이 과거사를 반성하며 내놓은 담화로, 1982년 미야자와 담화, 1993년 고노 담화, 1995년 무라야마 담화를 말한다.

 

미야자와 담화(宮澤 談話)

 

1982년 8월 역사교과서 왜곡 파동 미야자와 기이치(宮澤喜一) 관방장관이 발표한 담화를 말한다. 

당시 일본 문부성이 교과서 검정과정에서 1919년 일어났던 3·1운동을 '데모'와 '폭동'으로, 

대한제국에의 '침략'을 '진출'로 수정하도록 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외교적 마찰이 빚어졌다.

이에 미야자와 장관은 교과서 기술 시 한국, 중국 등 근린제국의 비판에 충분히 귀를 기울인다는 

내용을 담은 담화를 발표하였다. 그리고 그해 11월부터 교과서 검정기준에는 근현대 역사적 사건을 

다루면서 국제 이해의 시점에서 필요한 배려를 할 것이라는 근린제국 조항이 도입되었다.



 


고노 담화(河野 談話)

 

1993년 8월 고노 요헤이(河野洋平) 관방장관이 일본군'위안부'에 대한 일본군과 군의 강제성을 

인정한 담화이다. 고노 관방장관은 위안소는 당시 군(軍) 당국의 요청에 의해 설치된 것이며, 

위안소의 설치·관리 및 위안부 이송에 구 일본군이 관여하였다고 발표하였다. 또 일본군 '위안부'들에게 

사과와 반성의 마음을 올린다고 밝혔다. 10여년 전 미야자와 관방장관의 사과담화는 역사문제에 대한 

포괄적인 반성이었다면, 고노 담화는 피해당사자인 일본군‘위안부’에게 사과했다는 점에서 전후 

일본 정부로서는 가장 진일보한 사과담화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고노 담화에 따른 후속조치로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원조와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아시아여성기금’이 설립되기도 했다.

특히 고노담화 탄생 과정에 과거 강제동원에 참가했던 일본군 요시다 세이지의 증언이 나온 이후 

사단법인 태평양전쟁희생자유족회의 위안부 증언청취 영상 등이 증거자료로 채택되었다.   

 

 

 

 

무라야마 담화(村山 談話)

 

1995년 8월 당시 무라야마 도미이치(村山富市) 총리가 태평양전쟁 종전 50주년을 맞아 발표한 담화이다. 

일본의 식민지 지배와 침략의 역사를 인정하고 총체적인 사죄와 반성의 뜻을 표명했다.

무라야마 총리는 이 담화에서 “식민지 지배와 침략으로 아시아 제국의 여러분에게 많은 손해와 고통을 줬다. 

의심할 여지없는 역사적 사실을 겸허하게 받아들여 통절한 반성의 뜻을 표하며 진심으로 사죄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외교적으로 일본이 일본의 식민지배를 가장 적극적으로 사죄한 것으로 받아들여졌으나, 

일제에 의한 강제동원 피해자에 대한 배상 문제와 군 위안부 문제 등은 언급되지 않았다.

이후 일본의 모든 정권들은 무라야마 담화를 계승한다는 입장을 밝혔으나 이는 표면적인 것에 불과했다. 

여기에 1990년대 경제불황 이후 일본 사회가 전반적으로 보수화되면서 실질적인 계승은 이뤄지지 않았다. 

다만 2009년 9월 16일 제93대 일본 총리로 취임한 하토야마 유키오(鳩山由紀夫)는 민주당 대표이던 

2009년 8월 11일에 외신기자 회견을 통해 무라야마 담화를 실제로 계승하겠다고 밝혀 화제가 된 바 있다. 

또한 A급 전범이 합사된 야스쿠니 신사를 대체할 '국립추도시설'을 짓겠다는 공략을 펼치기도 했다.

 



   
<자료출처 : pmg 지식엔진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