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도별 주요역사

1965


     한일 국교정상화, 한일기본조약, 한일법적 지위협정 체결

     (무상3억, 유상2억 총5억불로 배상청구권과 경제협력문제 일괄 체결)


    

    동경 일본 수상관저에서 한일기본조약, 흔히 한일협정이라 불리우는 조약을체결하다. 

    을사늑약 이후 60년만이다.[조선일보]


1971

     71년 5월21일부터 72년 3월20일까지 10개월간 대일민간청구권 신고 접수

         (주요 신고내용 : 일본은행권, 피징용 사망자 보상금 등 9개 종목) 

  

     일본정부로부터 군인, 군속 등 전사자 명부 21,699 명 명부 입수

          (1945년 8월까지 총 38만 5천여 명이 군인, 군속으로 징집, 

           군인 20만9천명(육군 18만7천명, 해군 2만2천명), 군속 17만6천명)

 

1973

     ‘태평양전쟁유족회’발족

       대일민간청구권 신고기간 중에 각 지역의 피해자 유족들이 단체를 

       결성, 활동 전개 

 

       박도진 초대회장 추대

       최종수, 2대회장 추대 

 

1975

      정부, 신고인 확정한 군인, 군속 8,552명에 대해 25억6,000만원 지불

          (1인당 30만원)

          (당시 일본 후생성이 밝힌 한국군인 군속 전사자 수는 21,919명)

 

  

1976

      서판길, 제3대 회장 추대

   

 

1981

      김태곤, 4대회장 추대

 

     전쟁희생자 유골 첫 환국

         제1차 유해와 위패 219구를 일본인 이시하라 유골봉환회장이 기타쿠슈(북구주) 송환. 

         충남 천안시 국립망향동산 무궁화 가묘에 봉안, 

         (유족회, 일본에 있는 희생자 유골은 35만여구로 추정)

 

1984

     김기경, 5대 회장 추대

 

 

1988

     배해원, 6대회장 추대

  

     사단법인 인가 신청

          전범 일본을 재판에 회부하기 위해 제소. 참전생존자 증인 포함, 

          명목상 ‘태평양전쟁유족회’ 재발기

          재발기 후 제1차 보사부에 사단법인 인가 신청

          발기인; 김상원, 김종한, 배해원, 이금주, 양순임, 용수택, 한문수,

  

1989 

       태평양전쟁 원흉 일본 천황 '히로히토' 사망 

 




1990 

     '태평양 전쟁 희생자 유족회' 로 변경  


 

      유족회 명칭 변경, '태평양 전쟁 유족회' 를 '태평양 전쟁 희생자 유족회' 로 변경 

 

      양순임 상임이사 도일, 일본 후생성 실무자 면담, 희생자 명단 요청

            한국인 군인, 군속 명단, 일본 군인에 포함되어 있는 243,000명의 

            명단을 실무자를 통해 최초 확인함.

      후생성 재회담, 87년 9월 일본 관보에서 발표된 한국인희생자

            242,000명 명단 요청(군대위안부 9만여명 명단도 요구)

 

        군인, 군속, 노무자. 유가족 등 원고 22명 대일(對日)공식사죄배상 

        소송  첫 제소

 

        일본 노동성에 노무자연행 명단과 생사 확인 요청, 79,578명 명단 

        확인

 

1991

     양순임, 김종대 7대 공동회장 추대

  

     대일 전후 책임과 공식사죄 및 배상청구 첫 소송 제소

     이날 김학순 할머니, 위안부 최초 고백 

 

     유족회 원고 35명(군인, 군속, 군대위안부3명 포함), 1인당 2,000만엔(7억엔) 요구

       일본 정부로부터 피징용자노무자  90,804 명분 명부 입수

       아시아 태평양지역 전후보상국제포럼에 아시아 8개국 대표 참가, 피해실태와 일본에 대한 전후 책임 요구

       (유족회 초청연사로 양순임 상임이사 발표/요구조건 6개항 선언)



 1991년 6월 태평양전쟁피해자유족회가 일본 야마구치현 지방재판소에 일본 정부를 상대로 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한 뒤 나오고 있다(왼쪽). 소송 전 기자회견에서 한 위안부 피해자가 눈물을 흘리고 있다. 한국일보자료사진 

 

      12.7 - 일본 후생성, 강제동원 242,000명 명단 공개

 

1992

     제 151호 보건사회부 장관 사단법인설립 허가




      

       양순임, 김종대 초대 공동회장(사단법인 설립 후)

       유족회, 사단법인 발기총회

       10차례 신청 후 4년2개월만 인가 받음.

       국내 유일의 태평양전쟁 관련 국가인정 법적 단체가 됨. 

 

      두 번째 대일 소송

         기존 원고35명에서 위안부 6명 추가, 41명으로 다시 제소함

         일본 동경재판소 713호 법정에서 원고 41명 첫 공판 열림

         군인 정기영, 군속 박칠봉, 군대위안부 박복순, 유족 김종대

 

       요시다 세이지 증언(원 야마구찌간 노무 보국회의 동원부장)내한

         1942년 일본 패전까지 3년간 조선인의 징용업무 담당함 증언함

 

       일본 정부로 부터 입수된 명부(정부)피징용자 노무자 = 17,107 명분

 

1993

       UN 세계인권대회(오스트리아 비엔나) 양순임 공동대표 참석

 

       일본정부 역사상 처음으로 피해자 증언청취단 파견

       (위안부 16명 증언청취)

       

       고노 요헤이(河野洋平)관방장관. 이른바 고노담화 발표

       일 정부 차원에서 일본군위안부 강제성 첫 인정

        

        243,992명 군인, 군속(군대위안부 10여 명포함) 명단 호송

             71년 인수분과 중복

 

1995

      배해원, 8대회장 추대(사단법인 2대 회장) 

 

      일본 후생성, 1992년도 생사확인 645명중 99명 명단 확인

        56명 추가확인 요청

 

      일본군위안부 배상을 위한 아시아여성기금 시작, 한국은 1998년 동 기금 배상금 거부

 

1998

      김종대, 9대회장(사단법인 3대 회장) 

 

1999

      유족회, 태평양전쟁 희생자 군인군속 미불임금과 전몰위로금 기록 공탁문서

           109장 발견(일본 법무성이 작성 후생성에 보관)

 

2001 

      일본 동경지방 재판소 712호 법정 1심 선고공판

         '아시아태평양전쟁 한국인희생자 보상청구소송' 기각 판결

 

2002 

      김종대, 10대 회장(사단법인 4대회장)  

 

2003

      태평양전쟁 희생자에 대한 첫 입법 청원서 제출     

      <태평양전쟁희생자들에 대한 생활 안정지원법안> 제정을 위한 청원서 

      국회 제출; 양순임 외 김종대, 김재근, 김정임, 최정진, 김태선, 김선호 등 회원 3,982인 서명



 

2004

     양순임, 11대 회장(사단법인 5대 회장)

  

     일제강점하 강제동원피해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안 국회본회 통과

     일제강점하 강제동원피해 진상규명 등에 관한 특별법 공포(법률제7174호)

     태평양전쟁희생자에 대한 생활안정지원법안 발의

     일제강점하 강제동원 피해진상규명위원회 위원회 공식출범

  

     일본최고재판소, 대일소송 기각 판결 

       1991년 12월부터 일본국가 상대 소송 13년간 총42차례 제기, 기각판결,

     (참석; 양순임, 김종대, 김정임, 손일석, 심미자)

 

     기각사유 1.한일협정으로 과거사 종결되었다

           2.태평양전쟁으로 인한 보상은 일본인에 한한다

           3.법적 시효가 지났다

 

2005

      한일협정문서 40년만에 일부공개,

 

2007

     양순임, 12대회장(사단법인 6대회장)

 

     <태평양전쟁 전후 국외 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에 관한 법률 >통과

         양순임 회장/장복심 의원/문병호 의원 합작품

      일본, 군인. 군속 공탁금 명부 총11만명. 금액 9.100만엔 상당의

        공탁금 명부 한국에 제공




2008 

     태평양전쟁전후 국외강제동원희생자 지원법 시행 공고

 

 

2010

     유족회, `대일 민간청구권 소송 발대식‘ 한일병합 100년을 맞아 

          '대일민간청구권소송단' 구성, 일본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내기 위한 

           첫 번째 행사.

 

 

2013

   일 위안부 항의, 일 야수크니 신사 방화 중국인 류창

     양순임 회장, 구명 운동


2014

     유족상대 사기혐의 받은 양순임 회장, 무죄 확정 판결 받다. 

 

     양순임 회장, ‘태평양전쟁희생자유족회 최종 무죄판결 기자회견’에서 

    「고노담화」발표의 기초 자료가 된, 일본군위안부 16명 영상자료 최초공개

     (지난 21년 동안 세상에 공개되지 않았던 일본군의 한국인 여성 강제 연행과 관련된 위안부 16명에 대한 영상자료 일부)



                  고노담화가 채택된 증거 일부 영상 공개 기자회견



 

2015

     한·일 정상회담 관련 성명발표 

     “아베 신조(安倍晋三)는 특별조치법과 특별기구를 만들어 

     태평양전쟁 한국인 희생자 문제를 포괄적으로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

 

     박근혜 정부, 일본군위안부 합의한 ‘화해치유재단출범’ 졸속 평가 후 이사진 사퇴로 중단

 

 

2017

     유족회, 고노담화 22주년 기념 

       전쟁포로감시원으로 전범재판 받았던 송복섭씨, 

       위안부 실태 밝힌 영상 최초 공개

 

 


2020

      6월1일 유족회, 위안부할머니 능멸한 정의기억연대 해체 윤미향 국회의원 사퇴 촉구 기자회견



     6월1일 정의연해체와 윤미향 의원사퇴를 촉구하는 양순임 회장 기자회견


2022년 

   2월28일 태평양전쟁희생자유족회, 윤석열 대통령 후보 지지선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