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워치>일본 아사히신문 ‘위안부 보도’에 대한 검증보고서<1>

작성자: 최고관리자님    작성일시: 작성일2021-02-02 19:28:56    조회: 1,440회    댓글: 0

 

[독립검증위원회] 일본 아사히신문 ‘위안부 보도’에 대한 검증보고서 (영향2·맺음말)

‘강제연행’과 ‘성노예’라는 허위 날조로써 만들어진 정치적 프로파간다, ‘반일좌익’ 아사히신문 위안부 보도 (5/5)





제2장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가 한국 신문에 미친 영향
(第2章 「92 年 1月プロパガンダ」の韓国紙への影響)

- 아라키 노부코(荒木信子) (집필 담당) -

머리말(はじめに)

이 장은 1991년 8월 1일부터 1992년 1월 31일 사이에, 아사히신문의 위안부 보도가 한국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고찰한 것이다. 

대상 매체는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국일보, 서울신문, 경향신문, 한겨레 등 7개 신문이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는 각 사 사이트에서 검색했고, 다른 5개 신문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사이트에서 뉴스기사 통합검색을 이용했다. 모두 한국어로 된 기사 원문을 분석했다. 

“위안부 OR 정신대”를 키워드로 검색하고 541건을 개관했다. 월별 건수는 8월 43건, 9월 12건, 10월 24건, 11월 42건, 12월 73건, 1월 347건이다. 인용한 기사 등의 일역(日譯)은 부기(附記)가 없는 한 본인이 번역한 것이며, 밑줄은 인용자가 넣은 것이다. 

일본발 위안부 문제(日本発の慰安婦問題)

한국에서는 위안부를 비롯한 일련의 문제 제기는 “일본발”이라고 여겨지고 있었다. 예를 들어 1992년 1월 16일자 중앙일보 사설은 “정신대뿐만 아니라 일제의 징용희생자에 관한 자료조차도 일본인의 노력에 의해 조사되어 발굴되었다는 사실이 우리를 더욱 부끄럽게 한다”(‘과거의 악몽에서 벗어나려면’)라고 썼다. 

발단이 일본인일 뿐만 아니라 그 보도의 이면에 무엇이 있는지 의심하는 논조도 있다. 즉 대일적자 문제와 기술이전 문제를 호도하기 위한 사죄로 양심 있는 일본인을 내세워 위안부 문제에 시선을 모았다는 것이다(92년 1월 19일자 조선일보 ‘대일 거래방식을 바꿀 때-김대중 칼럼’) 그중에서도 상황을 가장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은 다음 1월 20일자 동아일보 사설이다. 

건국 반세기 가까이 우리 정부는 정신대 문제를 거론한 일조차 없었다. 원폭피해자와 징병징용자 문제의 꼬리에 매달려 정신대의 존재가 제기된 것은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태평양전쟁희생자유족회 등 민간단체에 의해서였다. 이제까지의 정부의 기본입장은 65년 한일회담기본조약에 얽매여 정신대를 위시한 징병징용자에 대한 배상을 거론치않는 것이었다. 우리 정부는 일본에서 먼저 제기되고, 국내 여론이 비등하자 피동적으로 이 문제에 대해 착안한 격이 되고 말았다.(‘과거를 청산해야 미래가 있다, 한일 정상회담이 남긴 숙제’)

 

이 가운데 “건국한 지 반세기 가까이 우리 정부는 정신대 문제를 거론한 일조차 없었다”고 기록한 점에 주목한다. 수교교섭 때도 문제가 되지 않았던 것이다. 

동아일보 1992년 1월 20일자 사설 ‘과거를 청산해야 미래가 있다, 한일 정상회담이 남긴 숙제’
▲ 동아일보 1992년 1월 20일자 사설 ‘과거를 청산해야 미래가 있다, 한일 정상회담이 남긴 숙제’


글 속에서 “민간단체”라고 했는데 일본 측에서도 전쟁책임이나 배상을 요구하는 민간단체, 사회당, 여성단체 등이 자주 등장하고 있다. 또한 일본과 남북한 여성단체의 공동활동도 보도되었다. 

위안부는 1980년대까지 크게 문제 되지 않고 90년대 들어서부터 민간단체에 의해서 제기되었다. 

위안부 문제의 근거(慰安婦問題の根拠)

그러면 한국 언론은 강제연행, 군 개입의 근거를 무엇에 두고 있는가. 일본 정부의 “위안부 동원에 관여하지 않았고 자료도 없다는 견해, 입장”을 부정하는 재료로서 요시다 증언을 들고 있다. 예를 들면,

태평양전쟁 중 일본군의 종군위안부(여자정신대) 동원을 담당한 노무보국회가 사실상 당시 일 정부 산하기구였음을 밝혀주는 자료가 발견됐다. (중략) 종군군위안부를 동원한 노무보국회가 당시 일 정부의 산하기구임을 뒷받침하는 주장을 담고 있는 자료는 한인 여성들의 강제연행에 관여했던 일본인 요시다 세이지 씨(78)가 지난 77년에 쓴 ‘조선인 위안부와 일본인’(신인물왕래사 간)라는 저서 ... (91년 12월 8일자 조선일보 ‘‘정신대 일본정부 관여’ 자료 발견, 동원담당 노무보국회, 당시 각료들이 고문역, 연행 관여, 일인 요시다 세이지 씨 저서서 밝혀져‘)

 

라고 하여, 여기서도 요시다 씨의 이름이 거론되는 것이다. 

덧붙여 이 기사는 표제어에 ‘발견’이라고 되어 있지만, 77년에 쓰여 이미 알려진 요시다 씨의 저서를 말하는 것이며, ‘발견’은 아니다. 한국 신문에는 이런 방식이 곳곳에서 보인다. 

조선일보 1991년 12월 8일자 ‘‘정신대 일본정부 관여’ 자료 발견, 동원담당 노무보국회, 당시 각료들이 고문역, 연행 관여, 일인 요시다 세이지 씨 저서서 밝혀져‘ 기사
▲ 조선일보 1991년 12월 8일자 ‘‘정신대 일본정부 관여’ 자료 발견, 동원담당 노무보국회, 당시 각료들이 고문역, 연행 관여, 일인 요시다 세이지 씨 저서서 밝혀져‘ 기사


91년 12월 7일자 서울신문에는 ‘정신대 연행은 군에서 명령한 것, 징집책임자 요시다’라는 제목으로 요시다 증언 자체를 실었다. 그 밖에도 요시다 증언을 근거로 하는 기사와 논설은 일일이 열거할 수도 없지만 같은 날짜에 가까운 것만 해도 ‘치욕스럽고 비열한 망언’(8일자 서울신문 사설), ‘또 정신대를 부인하는가’(8일자 조선일보 사설)를 들 수 있다. 

요시다 증언은 한국 신문에서 반복하여 ‘강제연행’의 근거로 언급되며 ‘권위’를 갖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 이 요시다 증언을 구체화하는 산 증인의 등장으로 김학순의 커밍아웃(1991년 8월)을 꼽을 수 있다. 

한국에서의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韓国における「92 年 1 月強制連行プロパガンダ」)

92년 1월, 일본에서 위안부 문제는 하타 이쿠히코(秦郁彦) 씨의 표현을 빌리면 “빅뱅”을 일으켰다. 한국에서의 빅뱅은 1월 11일자 아사히신문 ‘군 개입’ 뉴스와 한국 신문에 의한 14일자 “12살 초등생까지 위안부로 삼았다”라는 뉴스에 의해 야기되었다. ‘92년 1월 강제연행 프로파간다’다. 

둘 다 아사히신문의 보도와 관련이 있음은 이하에 기술한다. 

1월 11일자 아사히신문 조간에 ‘위안소에의 군 관여 나타내는 자료, 방위청 도서관에 구일본군의 통달 일지(「慰安所への軍関与示す資料、防衛庁図書館に旧日本軍の通達・日誌)’라는 보도가 있었다. 이 기사는 한국의 각지에 보도되었다. 

또 일본에서는 별로 화제가 되지 않은 것 같지만 이날 아사히 석간은 ‘군의 종군위안소 관여, 홋카이도에서도 자료, 육군성이 ‘창부 유치’(「軍の従軍慰安所関与、北海道でも資料、陸軍省が『娼婦の誘致』)’라는 기사를 게재했으며, 이것 역시 한국에서 보도되어 “증거” 중 하나가 됐다. 

한국에서는 방위청에서 발견된 도서관 자료가 군 관여의 결정적 증거로 포착돼 일본에 대한 비난의 목소리가 한층 커졌다. 1월 12일자 한국일보 칼럼 ‘기자의 눈’은 ‘시치미 떼는 일본’이란 제목으로 이렇게 썼다. 

11일 아침 일본 신문 1면 톱으로 보도된 종군위안부(여자정신대) 관련 기사를 보고 한순간 이해가 안 됐다. 일본군 당국이 1938년 중국 주둔 일본군 부대에 위안소를 설치하고 위안부 모집과 관리에 직접 관여했음을 입증하는 공문의 발견이 1면 톱의 무게가 있느냐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사를 읽으면서 이내 고개를 끄덕였다. 일본정부가 경찰과 헌병과 면서기를 동원해 “사냥을 하듯이” 한국의 처녀들을 잡아가고 있었다①는 사실은 우리만 아는 것이지 일본인은 모를 것이라고 생각했다. 

더구나 이 기사는 녹음기를 돌리듯 민간업자가 한 일이고 정부는 아무 관련이 없다는 말만 되풀이해 온 일본 정부를 향해 지금까지 모른 척해 왔느냐고 따지는 식이다. 

이번 공문 발견 사실을 일본 정부 소식통은 “군이 직접 위안부를 징용했다는 직접적인 자료가 아니다”고 말했다. 육군성이 휘하의 부대에 보낸 문서에 “위안부 모집은 파견군이 통제하고 모집 인물 선정을 주도면밀하게”라고 지시한 것이 직접적인 자료가 아니면 뭐가 더 필요한 것인가? 정신대 사냥에 동원된 인물의 참회의 수기②도 발표돼 전력 낭비를 막기 위해 군위안소를 설치한다는 기밀문서가 세상에 알려진 지도 오래다. 또 지난해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한 당사자가 일본 전국을 돌며 생생한 증언③도 했다. 

 

글 가운데 ①, ②는 요시다 세이지, ③은 김학순이라 생각된다. 방위청에서 발견된 문건의 무게를 얘기하면서 이것이 빠지지 않게 되는 근거가 여기서도 나온다. 

아사히신문 1월 11일자의 ‘위안소에의 군 관여 나타내는 자료, 방위청 도서관에 구일본군의 통달 일지’의 기사에 대해서, 제3자위원회 보고서에서는 다음과 같이 썼다.
 
이 기사에 대해서는 게재의 타이밍에 대한 비판뿐 아니라 과거 아사히신문의 요시다 증언의 기사와 전쟁터에 위안부가 “연행”됐다는 내용의 기사 등과 더불어 한국과 일본 내에서 위안부 강제연행에 군이 관여한 것 아니냐는 이미지를 여론에 주입했다는 취지의 비판도 있다. 그러나 기사에는 잘못된 사실이 기재돼 있지 않고 기사 자체에 강제연행 사실이 포함돼 있는 것은 아니다. 

아사히신문이 본 기사에 의해 위안부 강제연행에 군이 관여했다는 보도를 한 것처럼 평가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18~19페이지)

 

앞의 12일자 한국일보 칼럼을 읽어보면 군 관련 기사는 한국에서 군관(軍官)이 연루됐다는 이미지를 더욱 강화해 유력한 근거로 삼았음을 이해할 수 있다. 

‘12살 정신대’(「12 歳の挺身隊」)

중앙일보는 1월 14일 ‘정신대, 국민학교생까지 데려갔던 당시 일본인 여교사’라는 제목으로 다음과 같이 전했다. 

일제가 국민학교생인 12세 소녀까지 정신대에 동원한 사실을 입증하는 당시 학적부가 14일 발견돼 충격을 주고 있다. 

이 같은 사실은 당시 방산국민학교 6학년 담임이었던 일본인 이케다 마사에(68)씨가 올 7월 이들의 소재를 찾는 가운데 방산국민학교 졸업생들의 학적부를 위탁 보관하고 있던 서울 일월동 용복국민학교를 방문, 자신이 작성한 6명의 학적부를 찾아내 확인했다. 

용복국민학교(교장 안준복)에 보관되어 있던 이 학적부에는 당시 국민학생들이 정신대로 출발한 날짜, 장소, 동원 경위, 설득 과정 등이 생활기록란에 상세히 적혀 있다. (중략) 학적부에 따르면 6학년 4반(여자학급) 학생 70여명 중 5명이 44년 7월 2일, 이듬해 2월 25일에 11명이 각각 일본 도야마에 있는 후지코시(不二越) 정신대원으로 출발했고, 당시 그녀들의 나이는 1명이 13세, 다른 5명은 모두 12세였다.

 

다른 신문들도 12살 정신대를 크게 보도한다. 예를 들어 ‘일, 국교생도 정신대 징발, 당시의 일본인 교사, 가책감 추적’(15일자 조선), ‘총독부 지시에 따라 보낸 당시의 일본인 교사 이케다 씨 인터뷰’(15일자 동아), ‘정신대, 전국에서 조직적 징발’(16일자 서울신문)이 있다. 이 소식이 알려진 뒤 각급 학교에서 학적부를 조사하는 등 한바탕 소동이 벌어졌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